이 가이드는 신한카드 결제계좌 변경 방법을 정리하고 유의사항을 알려드립니다.
카드를 사용하다보면 결제계좌를 변경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좀 더 이율이 높은 파킹통장으로 바꾸거나 또는 같은 계열의 은행 계좌로 변경할 때도 있는데요. 일부 카드사의 경우 같은 계열의 은행 계좌로 변경할 경우 이벤트로 포인트 적립을 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신한카드 결제계좌 변경 이벤트 (2025년 7월 현재)
신한카드에서도 결제계좌를 변경할 경우 1만원을 청구할인 해주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전 3개월 + 변경하는 달을 포함해 총 4개월 동안 변경이력이 없는 경우에 한하며, 신한은행 계좌로 결제계좌를 변경한 후 30일간 10만원 이상 결제하는 경우 다음달 25일, 다다음달 25일 두번에 걸쳐 5천원이 캐시백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신한카드 홈페이지 이벤트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한카드 결제계좌 변경 방법
- 신한카드 웹페이지에 먼저 로그인합니다.
- 로그인 후 보여지는 마이 페이지 첫화면에서 결제정보 – 결제은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결제은행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결제계좌 변경 페이지가 보이는데요. 현재 결제계좌로 설정된 계좌가 표시됩니다. 변경하기 버튼을 눌러 변경합니다.

- 오픈뱅킹 계좌로 연결된 신한은행 계좌가 있다면 연결버튼을 눌러 바로 결제계좌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 다른 은행 계좌로 변경하고 싶다면 다른 계좌 등록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 아래에 결제할 계좌은행과 계좌번호를 입력합니다.

- 결제계좌 변경을 위한 인증을 합니다. 인증은 ARS인증,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를 통해 인증이 가능합니다. 네이버나 카카오페이와 같은 간편인증서비스로는 인증이 불가능합니다.

- 인증이 완료되면 결제계좌 변경이 완료 됩니다. 적용 예정일이 표시되는데요. 해당 적용 예정일부터 변경된 결제계좌가 적용되니, 만약 결제일 당일에 신청할 경우 새로 변경된 계좌에서 출금되는 것이 아닌 기존 결제계좌에서 출금될 수 있으므로, 결제일 적어도 일주일전에는 변경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신한카드 결제계좌 변경시 유의사항
- 결제계좌는 본인 명의의 계좌로만 변경이 가능합니다.
- 가족카드의 경우 가족 명의의 계좌로 변경이 가능하나 서류가 필요하므로 신한카드 고객센터를 통해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결제계좌 변경은 제휴 금융기관의 경우 자정 0시 30분 ~ 밤 11시 30분까지 가능하며, 비제휴 금융기관의 경우 오전 8시 부터 오후 10시까지만 가능합니다.
- 변경전, 후의 계좌가 모두 비제휴 금융기관인 경우 신한카드 고객센터에서 변경이 가능합니다.
신한카드 제휴기관, 비제휴기관
제휴기관과 비제휴기관은 아래와 같으며 제휴기관, 비제휴기관에 따라 자동이체 결제일과 즉시 결제 가능 여부가 다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휴기관 | 비제휴기관 |
---|---|
신한, 농협, 국민, 우리, KEB하나, 기업 , SC제일, 경남, 광주, 아이엠뱅크, 부산, 산업, 카카오뱅크, 새마을금고, 수협, 신협, 한국씨티, 우체국, 전북, 제주, 신한투자증권, 유안타증권, 삼성증권, 중앙회소속 저축은행 | K뱅크, 토스뱅크, 일부 저축은행, 산림조합, HSBC, 제휴증권사 이외 증권사 등 |
자동이체: 결제일(미납 시 매일(영업일) 이체확인), 입금일+1일 입금 반영 | 자동이체 : 결제일 (미납시 2~3일 간격으로 이체확인), 입금일 + 1 영업일 입금 반영 |
이용대금 즉시결제 가능 | 이용대금 즉시결제 오픈뱅킹 등록된 계좌에 한해 가능 |
이번 글에서는 신한카드 결제계좌 변경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