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카드 결제계좌 변경 방법 (모바일) 및 유의사항

이 가이드는 KB국민카드 결제계좌 변경 방법에 대해서 정리합니다.

최근에는 동일 계열의 은행 계좌를 결제계좌로 쓰지 않고 파킹통장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은데요. 은행 입출금 계좌의 경우 금리가 낮은 반면, 파킹통장의 경우 매일 이자를 주는데다 사용성은 비슷하기 때문에 결제계좌를 변경하는 분들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KB국민카드 결제계좌는 PC보다는 모바일앱으로 변경하는 것이 훨씬 쉬운데요. 아래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KB국민카드 결제계좌 변경 방법

  1. KB국민카드 앱에서 화면 오른쪽 하단의 카드, 금융 버튼을 선택합니다.
  2. 화면 오른쪽 상단에는 메뉴 버튼이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터치합니다.
  3. 메뉴가 많이 나오는데요. 상단 부분에 대금결제 탭 또는 페이지 중간의 대금결제 부분이 있습니다.
  4. 해당 부분에서 결제일, 결제계좌를 선택합니다.
국민카드앱에서 결제일 결제계좌 선택
  1. 결제 계좌 변경화면에서는 카드와 체크카드의 결제계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체크카드 카드결제계좌 변경
  1. 변경할 계좌를 선택하거나 또는 계좌를 직접 입력하여 변경합니다.
변경할 결제계좌 입력
  1. KB국민 인증서를 통해 인증을 하거나 또는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를 통해 본인인증을 합니다.
  2. 인증을 완료하면 결제계좌가 변경됩니다.
카드 결제계좌 변경 완료

KB국민 결제계좌 변경시 유의사항

카드 결제계좌를 카드별로 따로 따로 지정할 수 있나요?

카드 결제계좌는 카드별로 따로 지정할 수 없이 선택한 결제계좌로 모든 카드결제가 이뤄집니다.

체크카드의 경우 카드별로 따로 따로 지정할 수 있나요?

체크카드의 경우에는 카드별로 따로 따로 지정이 가능한데요. 결제계좌와 출금계좌로 나누어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후불교통카드 이용요금의 경우 신용승인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결제계좌로 청구가 됩니다. 이 결제계좌는 1개의 계좌만 설정이 되기 때문에, 여러 체크카드의 후불교통기능을 이용하더라도 결제계좌 1개를 통해서만 결제가 됩니다.

다만, 체크카드를 통해 일반 결제할 경우 바로 출금이 되는데요. 이렇게 출금계좌는 체크카드별로 따로 따로 나누어 설정이 가능하므로 용도별로 나눠 계좌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금융기관 별 결제 안내

금융 기관별로 원리금 수납, 당월 결제예정금액 선납, 일부상환 방법이 다릅니다.

제휴 은행비제휴 은행
KB국민, NH농협, IBK기업, SC제일, 신한, KEB하나, 우리, 경남, 부산, 전북, DGB대구, 광주, 카카오뱅크, 우체국, 새마을금고, 신협, KDB산업, 한국씨티, 제주, 삼성증권, 유안타증권, 케이뱅크, 토스뱅크상기 외의 일반 지방은행, 수협, 신협, 상호저축은행, 국내증권사 등
홈페이지 · 모바일 · KB국민카드 고객센터를 통해 원리금 수납, 당월 결제예정금액 선납, 일부상환 및 완제할 수 있습니다.원리금 수납, 당월 결제예정금액 선납, 일부상환 및 완제는 가상계좌 서비스를 통해할 수 있습니다.
연체발생시에는 매 영업일 결제대금과 지연배상금이 함께 자동 출금 됩니다.연체발생시에는 매 2영업일 간격으로 결제대금과 지연배상금이 함께 자동 출금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KB국민카드 결제계좌 변경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카드 결제계좌를 하시려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