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이드는 자동이체 통합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합니다. 자동이체 통합관리 페이지에서 현재 계좌에 연결된 자동이체를 조회하거나 해지, 변경이 쉽게 가능합니다.
보통 매달 정기적으로 결제하는 공과금이나 통신요금, 보험료, 아파트 관리비 등을 자동이체로 연결해 놓는 경우가 많은데요. 여러가지 지출을 연결해 놓다 보면 가스비는 어디에 연결되어 있는지, 보험료는 어디에 연결되어 있는지 기억이 안날 때가 있습니다. 이럴때는 금융결제원에서 제공하는 어카운트인포 웹사이트를 통해 계좌 자동이체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계좌 자동이체 통합관리하는 방법
계좌 자동이체 통합관리는 금융결제원에서 제공하는 어카운트인포 웹사이트에서 제공합니다. 어카운트인포 웹사이트는 PC에서만 접속이 가능하고, 모바일에서는 모바일 전용앱을 통해서만 접속이 가능하므로, 모바일에서 사용시에는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를 통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어카운트인포 웹사이트에서 계좌자동이체 통합관리 > 계좌자동이체조회 를 선택합니다.
- 공동인증서(구.공인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합니다.
- 금융기관에 등록한 핸드폰 전화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문자 인증을 합니다.

- 자동이체조회 화면에서는 자동납부와 자동송금이 나누어 보여지는데요.

자동납부란 보험료, 통신비, 아파트관리비, 가스사용료 등 청구기관에서 고지서를 발부하고 해당 금액에 대해 청구기관에 자동으로 납부하는 것을 자동납부라고 합니다.
자동송금이란 본인이 다른 사람(또는 본인)의 계좌로 적금, 월세, 용돈, 동창회비등을 정기적으로 이체하는 것을 정기송금이라고 합니다. 자동납부와 자동송금은 구분되어 표시됩니다.
- 각 은행 계좌별로 자동납부 건수와 자동송금 건수가 구분되어 표시됩니다.
-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고 싶다면 확인하려는 계좌를 선택한후 자동납부 상세조회 버튼을 선택합니다.

- 해당 계좌들에 연결된 자동납부들이 표시됩니다. 청구기관 명을 보면 보통 청구회사가 어디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출금 내역을 확인하려면 조회하기 버튼을 눌러 최근 출금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아래는 연결된 자동납부을 상세조회해본 건데요. 청구기관, 자동납부 신청일자, 납부자 번호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그런데, 아래의 경우에는 3개월간 자동납부 최근 출금내역이 없네요. 사실 아래의 경우에는 이사오기 전에 살던 집 가스요금이었는데요. 가스요금은 정산하고 해지했는데도, 이와 같이 따로 해지하지 않으면 자동납부가 연결된 상태로 있을 수 있습니다.

- 상세보기 화면에서는 변경이나 해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저는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곳이므로 해지신청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지신청으로 이동을 선택합니다.

- 다음 해지 화면에서 실제로 해지할 자동납부건을 선택한 후 해지신청을 클릭합니다.

- 자동납부 해지 관련 안내가 표시됩니다. 해지를 원한다면 아래의 회색 글씨로 적힌 글자대로 ‘요금미납’ ‘연체’ ‘신청’ 을 따라 입혁한 후 해지신청 버튼을 누릅니다.
자동납부 해지신청을 하면 다음 영업일에 해지처리됩니다. 결과확인은 그 다음 영업일 (해지신청 다다음날)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고 있는데 자동납부 해지를 할 경우에는 요금이 미납처리될 수 있으며, 연체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납부 해지후 요금이 청구되지 않도록 서비스 해지를 요청해야 합니다.

해지 신청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해지 신청이 접수되었다는 메세지를 볼 수 있으며 해지 소요시간은 2 영업일도 다다음 영업일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지와 동일하게 자동납부 변경신청역시 자동납부변경 페이지를 통해 변경할 자동납부건을 선택한 후 변경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납부 통합관리하는 방법, 조회, 변경, 해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지금까지 쏠쏠닷컴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