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면계좌찾기 / 해지 후 환급 신청 방법 (조회, 잔고이전)

이 가이드는 휴면계좌찾기 방법 및 해지 후 환급 신청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한 글입니다.

은행 거래를 하다가 소액의 금액을 넣어놓고 잊어버리거나 또는 너무 소액이라 굳이 찾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러한 은행에서 이런 휴면계좌의 잔고를 이전하려면 은행 앱을 다시 설치하고 인증을 하는 등의 귀찮은 절차를 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 금융결제원에서 운영하는 어카운트인포 사이트를 이용하면 은행, 새마을금고, 신협, 저축은행등의 제2금융권, CMA 계좌등 증권사 계좌까지 잔고이전 및 계좌 해지를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휴면계좌찾기는 금융결제원에서 제공하는 어카운트인포 웹사이트에서 제공합니다. 어카운트인포 웹사이트는 PC에서만 접속이 가능하고, 모바일에서는 모바일 전용앱을 통해서만 접속이 가능하므로, 모바일에서 사용시에는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를 통해 설치할 수 있습니다.

휴면계좌찾기 시 유의사항

  • 계좌해지나 잔고이전은 1년이상 입출금거래가 없거나 만기 후 1년이 경과한 비활동성계좌중 잔고가 100만원 이하인 경우에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 대출약정계좌, 세금우대상품, 청약저축, 주택청약저축, 당좌예금 등 일부계좌는 항상 활동성 계좌로 분류됩니다.

휴면계좌찾기 / 해지 후 환급 신청 방법

  1. 어카운트인포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모바일에서는 위에서 말씀드린 앱을 통해 접속해야 합니다. 이 글은 PC에서 접속하는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2. 첫 화면에서 내 계좌 한눈에 > 은행권 을 선택합니다. 조회 / 해지 / 잔고이전 방법은 은행권 / 제2금융권 / 증권사 가 모두 동일합니다.
계좌정보통합관리 서비스
  1. 공동인증서 (구.공인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로 본인인증을 합니다.
  2. 금융기관에 등록한 핸드폰 전화번호와 동일한 번호로 문자 인증을 합니다.
  3. 아래의 화면처럼 은행별 계좌 내역 목록이 표시됩니다.
은행별 계좌내역 조회
  1. 은행별 비활동성계좌와 활동성계좌로 나눠지는데요. 활동성계좌는 현재 사용중이거나 아직 휴면계좌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계좌입니다.
  2. 비활동성계좌만 해지 및 잔고이전이 가능합니다. 확인하고 싶은 은행의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비활동성계좌 조회
  1. 비활동계좌 중 하나를 선택해 봤습니다. 잔고가 0이고 최종 입출금일이 2023년이 마지막이네요. 휴면계좌는 1년이상 입출금이 없고 잔고가 100만원 이하인 계좌를 기준으로 하는데 이 기준에 해당하는 계좌입니다.
  2. 계좌 해지를 원한다면 계좌해지 / 잔고이전에 있는 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잔고 있는 비활동성 계좌
  1. 새마을금고, 신협, 제2금융권, 증권사 계좌도 동일하게 휴면계좌를 조회하고 해지 및 잔고이전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제 새마을금고 휴면계좌에는 잔고가 조금 있었네요.
  2. 계좌해지 잔고이전 신청 버튼을 누르겠습니다.
잔고이전 대상 선택
  1. 해지할 휴면계좌에 잔고가 있다면 잔고이전 대상선택화면이 표시됩니다.
  2. 잔고이전시 타 금융기관으로 이체시에는 건 별 수수료가 300원이 청구됩니다. 만약 계좌별 잔고가 300원 미만이라면 기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계좌별 잔고가 300원 이상이라면 잔고에서 300원을 제한 금액을 선택한 계좌로 이전할 수 있습니다.
해지예상금액 상세내역
  1. 저의 경우에는 잔고 1,759원에서 타행수수료 300원을 제하고 1,459원이 해지 예상 금액으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입력한 계좌로 해지 예상 금액이 입금됩니다.
잔고이전 해지 신청
  1. 잔고이전 관련 안내문이 표시되는데요. 해당 안내문을 확인하신 후 회색글씨를 동일하게 “취소불가” “신청”을 입력합니다.
  2. 잔고이전 해지 신청을 클릭하면 휴면계좌 해지 / 잔고이전이 완료되며, 잔고이전한 금액은 바로 입금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휴면계좌찾기 / 잔고이전 신청 방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봤습니다. 지금까지 쏠쏠닷컴이었습니다.